예약문의 목록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 24.rde416.top → 최신 릴게임
        
    페이지 정보
단성햇미 25-08-25 20:58 0회 0건관련링크
- 
				 http://28.rnd245.top
                
                0회 연결 http://28.rnd245.top
                
                0회 연결
- 
				 http://57.req598.top
                
                0회 연결 http://57.req598.top
                
                0회 연결
본문
【89.rde416.top】
호남의 3대 정원으로 윤선도가 ‘어부사시사’를 읊었던 보길도의 ‘부용동’, 처사 이담로가 월출산 자락에 조성한 강진의 ‘백운동 정원’, 소쇄옹 양산보가 무등산 자락에 조성한 ‘소쇄원’을 꼽는다. 송순·김인후·고경명·기대승 등 당대의 호남 명사들은 그 중에서도 “조선시대 원림 중 최고는 소쇄원”이라는 시를 남긴다.
소쇄원 전경(담양군 남면 지곡리)
양산보가 건립한 소쇄원(瀟灑園)의 ‘소쇄’는 글자 그대로 풀어보면 ‘맑고 깊다’, ‘깨끗하다’는 뜻을 품고 있는 야마토게임동영상
글자다. 원래 ‘소쇄’는 송나라 주옹이 처음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관직을 제수받고 나가자, 함께 은거했던 친구 공치규(공덕장)가 주옹의 변절을 나무란 글인 ‘북산이문(北山移文)’에 나온다. 북산은 난징(南京)에 있는 산으로 은자들이 폭군을 피해 은거하는 산이었다. 공덕장은 주옹의 변절을 나무라면서, 두 번 다시 북산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도록 북산 신령의ck트레이더
이름을 빌려 이문을 썼던 것이다. 따라서 소쇄는 주옹처럼 변절하지 않고 맑고 깨끗한 자연을 벗 삼고 살겠다는 공덕장의 의지가 담겨 있는 말이다. 양산보는 공덕장의 삶을 본받고 싶었고, 그래서 소쇄정을 짓고 스스로를 소쇄라 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소쇄옹, 소쇄공, 소쇄처사라고 불렀다.
소쇄처사 양산보(梁山甫, 150신 천지 게임
3~1557), 자는 언진이고, 호는 소쇄옹이며, 본관은 제주다. 1503년(연산군 9), 양사원과 신평 송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나 창평 창암촌에서 자란다.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민서가 남긴 ‘서하집(西河集)’에 소쇄원양공행장(瀟灑園梁公行)이 실려 있다. 이 행장에 “선생은 총명하고 올곧으며, 타고난 자질이 순수하고 아름다웠다. 어릴 고려제약 주식
때 이미 글을 읽을 줄 알아 대의를 깨우쳤다. 조금 커서는 고상한 뜻과 심원한 식견이 있어 스스로 힘써 공부하였다”라고 양산보의 어린 시절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양산보가 소쇄옹이 된 것은 정암 조광조와의 운명적인 만남 때문이었다. 양산보는 15살 되던 해, 서울에 올라가 조광조의 제자가 된다. 조광조는 어느 제자보다도 양산보를 아꼈다.건설화학 주식
그 모습이 이민서가 쓴 ‘행장’에 “당시 성수침 형제와 동문수학하였는데 양산보를 보고 ‘외우(畏友)’라 칭찬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외우란 ‘아끼고 존경하는 벗’이란 뜻이다. 조광조는 15살 양산보를 아끼고 존경하는 벗으로 대했다.
조선 후기의 문신 박세채의 시문집 ‘남계집’에 실린 처사소쇄옹양공묘갈명(處士瀟洒翁梁公墓碣銘)에도 “조광조가 곧바로 ‘소학’의 글을 가르치면서 말하기를, ‘진실로 학문에 뜻을 둔다면 이것을 따라 시작하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하자, 양산보가 잘 지키며 잊지 않고 조금도 게을리하지 아니하니, 조광조가 매우 칭찬하였다”라는 기록도 남아 있다. 양산보가 학문에 게을리하지 않았음도, 조광조의 양산보에 대한 사랑이 각별했음도 알 수 있다.
-소쇄원을 조성하다 중종 대에 조광조가 사헌부 대사헌에 오르는 등 사림들의 정계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훈구세력과 대립하게 된다. 이때 조광조 등 사림 세력은 향약 실시, 도교의 관청인 소격서 폐지, 현량과 실시 등 개혁을 단행한다. 현량과(賢良科)는 1519년(중종 14) 조광조의 건의에 따라 시행된 것으로, 학문뿐만 아니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추천을 통해 선발하는 새로운 관리 등용 제도였다. 현량과는 딱 한 번 실시되었는데, 이때 17살 양산보가 최연소로 합격한다. 그러나 급제자가 너무 많다는 대간의 의견 때문에 최종 탈락하게 된다. 이에 중종은 양산보를 불러 위로하며 종이를 내려주었다고 한다.
현량과에 합격했던 그해 겨울,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는 화순 능주로 유배와 한 달 만에 사약을 받았고, 조광조의 당(黨)으로 몰린 양산보는 관직 진출이 막히게 된다. 양팽손과 함께 스승의 시신을 거둔 양산보는 세상 모든 것을 잊고 초야에 묻혀 살아갈 결심을 굳힌다. 고향 창평에 내려와 창암촌(지석 마을)에 소쇄정을 짓고 소쇄원을 조성한 이유였다.
양산보는 기묘사화 후 은둔 생활을 하던 중 몇 번의 천거를 받아 조정에 나아갈 수 있었지만, 단호히 거부했다. 당시 기묘사화로 낙향한 사람 중에는 공덕장의 ‘북산이문’에 나오는 주옹처럼 관직에 나아가는 자도 있었다. 그러나 양산보는 공덕장처럼 소쇄의 삶을 선택했다. 이러한 양산보의 절의에 대해 고봉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은 “소쇄옹이 외면은 온화하지만 내면은 엄숙하여 한번 보면 화락하고 온화한 군자임을 알 수 있다”고 평했다.
-하서 김인후와 사돈지간 소쇄원은 당시 남도 사대부들이 찾았던 고급 사교장이었다. 이는 손님을 기다리는 곳인 ‘대봉대’와 손님의 사랑방인 ‘광풍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단골손님으로는 ‘유서석록’을 남긴 임진왜란 의병장 고경명과, 소쇄원 조성을 도왔던 송순, 후일 문묘에 배향된 하서 김인후 등이 있다. 그가 죽었을 때 만장(輓章)을 지었던 임억령, 유사, 양응정, 기대승도 단골손님이었다. 이 중에서도 이민서가 쓴 ‘행장’에는 석천 임억령을 가장 친한 벗으로 기록하고 있다.
인척 관계로 맺어진 분들도 대단했다.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면앙정 송순은 양산보와는 이종사촌간이었다. 송순의 이모가 양산보의 어머니였다. 소쇄원 건립은 20여 년이 소요된다. 경제력 때문이었는데, 건립비용을 보탠 분도 송순이었다.
양산보의 부인은 나주 목사를 지낸 사촌 김윤제의 여동생이었다. 따라서 환벽당의 주인인 사촌 김윤제는 양산보의 처남이 된다.
일곱 살 아래인 하서 김인후와는 특별히 친했다. 김인후는 양산보의 둘째 아들 양자징을 제자로 삼았다가, 사위로 맞이한다. 김인후의 따님이 양산보의 며느리가 되었으니, 양산보와 김인후는 사돈지간이 된다.
-소쇄원을 찾다 1540년대에 만들어진 소쇄원의 원형을 오늘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1597년 정유재란 당시 광풍각 등의 건물들이 화재를 입었기 때문이다.
소쇄원의 원래 모습은 1755년 만들어진 판화 ‘소쇄원도’와 1548년 하서 김인후가 지은 ‘소쇄원 48영’에서 확인된다. ‘소쇄원도’나 ‘소쇄원 48영’을 보면 지금 남아 있는 오곡문이나 제월당, 광풍각, 대봉대 말고도 고암정사나 부훤당 등도 있었다.
제월당에 걸린 ‘소쇄원 48영’ 편액
소쇄원은 크게 세 구역으로 나뉜다. 계곡을 건너기 전 대봉대가 있는 구역, 시냇물 너머의 광풍각, 그 위에 살림집이 있는 제월당 구역이 그것이다.
소쇄원의 주인 소쇄옹이 거주했던 집이 제월당(齊月堂)이다. 건물 이름 제월당은 ‘비가 멈춘 후의 밝은 달’이란 뜻의 당호로 앞면 3칸, 옆면 1칸의 팔작지붕이다. 현판 글씨는 우암 송시열이 썼다. 제월당에는 소쇄원의 풍광을 노래한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과 임억령·고경명·김성원·정철의 한시, 송순·양응정·기대승의 만시(輓詩) 등이 편액되어 걸려 있다.
소쇄원의 중심 건물 중 하나가 손님을 맞이했던 사랑채인 광풍각(光風閣)이다. 계곡 옆에 위치하고 있다. ‘비 갠 뒤 불어오는 청량한 바람’의 뜻을 지닌 광풍각은 앞면 3간,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광풍각은 제월당과 달리 1597년 정유재란 당시 불타자, 1614년 양천운(양산보의 손자)에 의해 복원된 건물이다. 광풍각의 글씨도 우암 송시열이 썼다.
제월당과 광풍각 등 당호의 이름은 그냥 붙이는 것이 아니다. 원래 제월당과 광풍각은 송나라 유학자 황정견이 주돈이(周敦頤)의 사람됨을 평하면서 쓴 시 ‘흉회쇄락여광풍제월(胸懷灑落如光風霽月)’ 중 ‘광풍제월’에서 따와 붙인 이름이다. 쇄락(灑落)은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한 상태를 말한다. 즉 주돈이의 사람됨이 “가슴에 품은 뜻의 상쾌한 상태가 마치 비갠 뒤 불어오는 청량한 바람과, 비가 멈춘 후의 밝은 달빛과 같다”라고 평한 것이다. 양산보가 닮고 싶었던 인물은 북송의 유학자 주돈이었다.
사진 위로부터 소쇄옹이 거주했던 공간 ‘제월당’, 손님을 맞이했던 사랑채 ‘광풍각’, 손님을 기다렸던 공간 ‘대봉대’
소쇄원의 건물 중 특별한 장소는 1985년 재건된 대봉대(待鳳臺)로, 사방 1칸의 초가 정자다. 정자 이름 대봉대는 ‘봉황처럼 귀한 손님을 기다린다’는 뜻을 담고 있다. 봉황은 새 중 으뜸으로, 뛰어난 명성을 지닌 사람을 상징한다. 그리고 봉황은 오직 오동나무 위에만 내려앉고 대나무 열매만 먹고 산다. 그래서 양산보는 대봉대 뒤에 벽오동을 심고, 정원 곳곳에 대나무를 심는다. 지금 벽오동은 사라지고 없고, 대나무만 울창하게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소쇄원은 양산보가 은둔하기 위해 조성한 원림이었지만, 봉황같이 빼어난 친구들이 찾아와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기를 바라는 마음도 묻어 있다.
계곡을 중심으로 흙과 돌로 쌓은 담이 있는데, 담벽에는 애양단(愛陽檀)과 담장 밑으로 계곡물이 흐를 수 있도록 꾸며 자연의 풍치를 살린 오곡문(五曲門)이 있었다. 오곡문은 “담장 아래 주변의 암반 위로 흐르는 물이 갈지자(之) 모양으로 다섯 번을 돌아 흘러내려 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오늘 오곡문은 사라졌고, 대신 담장에 현판만 남아 있다.
‘애양단’이란 ‘햇볕을 사랑하는 단’이란 뜻이다. 하서 김인후의 시 ‘소쇄원 48영’에 나오는 ‘햇볕드는 단의 겨울 낮’이라는 뜻의 ‘양단동오(陽檀冬午)’라는 시제를 따서 우암 송시열이 이름 붙였다고 한다. 이름 하나하나가 기가 막힌다.
양산보는 생을 마감하기 직전 “어느 언덕이나 골짜기를 막론하고 나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으니 이 동산을 남에게 팔거나 양도하지 말고, 어리석은 후손에게 물려주지도 말 것이며, 후손 어느 한 사람의 소유가 되지 않도록 하라”는 유언을 남긴다. 오늘 소쇄원이 남아있는 이유다.
노성태·남도역사연구원장
소쇄옹 양산보가 세상을 뜬 지 268년 만인 1825년(순조 25), 창평의 유림들은 명옥헌 원림 뒤에 그의 위패를 모신 도장사(道藏祠)를 건립한다. 오늘 도장사는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헐리고, ‘유허비’만 서 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 42.rde416.top → 최신 릴게임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 22.rde416.top → 최신 릴게임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 59.rde416.top → 최신 릴게임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 11.rde416.top → 최신 릴게임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바다이야기 부활 릴게임 확률 한게임바둑이추천 메타슬롯 알라딘게임예시 바다이야기apk 프라그마틱 무료 바다이야기기계 모바일릴게임종류 릴게임 꽁머니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사이다쿨 한국파친코 바다이야기 먹튀 황금성3게임다운로드 오션파라다이스3 황금성게임다운 바다이야기예시종료 황금성배당줄 먹튀 피해 복구 야마토다운로드 상품권릴게임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다운로드 황금성게임방법 카지노 슬롯머신 종류 실시간파워볼 최신인터넷게임 슬롯게임 무료 오션파라다이스7하는곳 신천지게임 오션파라 다이스다운 성인놀이터 바다이야기 꽁머니 바다이야기 프로그램 사이다쿨게임 신 천지 게임 바다 슬롯 먹튀 알라딘꽁머니 릴파라다이스 신천지사이트 슬롯머신 판매 중고 황금성포커성 손오공릴게임다운로드 슬롯버그 릴게임바다이야기 신 천지 게임 릴게임종류 알라딘게임예시 야마토게임하기 슬롯머신 판매 중고 매장판 골드몽 먹튀 바다신게임 신천기릴게임 온라인삼국지 오토 황금성매장 동영상황금성 슬롯 게시판 백경게임하는곳주소 모바일파칭코 바다이야기게임동영상 야마토게임 무료 다운 받기 신오션파라다이스 바다이야기 조작 슬롯 확률 바다이야기5만 릴게임놀이터 프라그마틱 홈페이지 게임몰 황금성다운로드 야마토 2 온라인 게임 릴게임골드몽 꽁머니사이트 릴게임갓 황금성게임다운 바다이야기게임다운 슬롯머신 기계 구입 창공릴게임 모바일바다이야기 무료백경 신오션파라다이스 알슬롯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모바일게임 해외축구일정 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매장판황금성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인터넷게임사이트 릴파라다이스 야마토5게임 기 황금성게임종류 온라인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먹튀 인터넷예시게임 무료 슬롯 메타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우주전함야마토게임 바다이야기기계가격 신천지 게임 최신야마토게임 릴게임5만릴짱 카지노 잭팟 릴게임릴게임갓 골드몽릴게임 손오공게임하기 슬롯 머신 이기는 방법 바다이야기 기계 가격 바다이야기 꽁 머니 환전 릴게임5만 릴게임무료 오리지날 양귀비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윈윈 바다이야기상어 알라딘먹튀 황금성동영상 슬롯게임 무료 야마토 릴게임 알라딘릴게임오락실 야마토게임 기 우주전함야마토2199 야마토게임장 프라그마틱무료메타2 무료 메가 슬롯 머신 -조광조의 제자가 되다호남의 3대 정원으로 윤선도가 ‘어부사시사’를 읊었던 보길도의 ‘부용동’, 처사 이담로가 월출산 자락에 조성한 강진의 ‘백운동 정원’, 소쇄옹 양산보가 무등산 자락에 조성한 ‘소쇄원’을 꼽는다. 송순·김인후·고경명·기대승 등 당대의 호남 명사들은 그 중에서도 “조선시대 원림 중 최고는 소쇄원”이라는 시를 남긴다.
소쇄원 전경(담양군 남면 지곡리)
양산보가 건립한 소쇄원(瀟灑園)의 ‘소쇄’는 글자 그대로 풀어보면 ‘맑고 깊다’, ‘깨끗하다’는 뜻을 품고 있는 야마토게임동영상
글자다. 원래 ‘소쇄’는 송나라 주옹이 처음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관직을 제수받고 나가자, 함께 은거했던 친구 공치규(공덕장)가 주옹의 변절을 나무란 글인 ‘북산이문(北山移文)’에 나온다. 북산은 난징(南京)에 있는 산으로 은자들이 폭군을 피해 은거하는 산이었다. 공덕장은 주옹의 변절을 나무라면서, 두 번 다시 북산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도록 북산 신령의ck트레이더
이름을 빌려 이문을 썼던 것이다. 따라서 소쇄는 주옹처럼 변절하지 않고 맑고 깨끗한 자연을 벗 삼고 살겠다는 공덕장의 의지가 담겨 있는 말이다. 양산보는 공덕장의 삶을 본받고 싶었고, 그래서 소쇄정을 짓고 스스로를 소쇄라 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소쇄옹, 소쇄공, 소쇄처사라고 불렀다.
소쇄처사 양산보(梁山甫, 150신 천지 게임
3~1557), 자는 언진이고, 호는 소쇄옹이며, 본관은 제주다. 1503년(연산군 9), 양사원과 신평 송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나 창평 창암촌에서 자란다.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민서가 남긴 ‘서하집(西河集)’에 소쇄원양공행장(瀟灑園梁公行)이 실려 있다. 이 행장에 “선생은 총명하고 올곧으며, 타고난 자질이 순수하고 아름다웠다. 어릴 고려제약 주식
때 이미 글을 읽을 줄 알아 대의를 깨우쳤다. 조금 커서는 고상한 뜻과 심원한 식견이 있어 스스로 힘써 공부하였다”라고 양산보의 어린 시절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양산보가 소쇄옹이 된 것은 정암 조광조와의 운명적인 만남 때문이었다. 양산보는 15살 되던 해, 서울에 올라가 조광조의 제자가 된다. 조광조는 어느 제자보다도 양산보를 아꼈다.건설화학 주식
그 모습이 이민서가 쓴 ‘행장’에 “당시 성수침 형제와 동문수학하였는데 양산보를 보고 ‘외우(畏友)’라 칭찬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외우란 ‘아끼고 존경하는 벗’이란 뜻이다. 조광조는 15살 양산보를 아끼고 존경하는 벗으로 대했다.
조선 후기의 문신 박세채의 시문집 ‘남계집’에 실린 처사소쇄옹양공묘갈명(處士瀟洒翁梁公墓碣銘)에도 “조광조가 곧바로 ‘소학’의 글을 가르치면서 말하기를, ‘진실로 학문에 뜻을 둔다면 이것을 따라 시작하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하자, 양산보가 잘 지키며 잊지 않고 조금도 게을리하지 아니하니, 조광조가 매우 칭찬하였다”라는 기록도 남아 있다. 양산보가 학문에 게을리하지 않았음도, 조광조의 양산보에 대한 사랑이 각별했음도 알 수 있다.
-소쇄원을 조성하다 중종 대에 조광조가 사헌부 대사헌에 오르는 등 사림들의 정계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훈구세력과 대립하게 된다. 이때 조광조 등 사림 세력은 향약 실시, 도교의 관청인 소격서 폐지, 현량과 실시 등 개혁을 단행한다. 현량과(賢良科)는 1519년(중종 14) 조광조의 건의에 따라 시행된 것으로, 학문뿐만 아니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추천을 통해 선발하는 새로운 관리 등용 제도였다. 현량과는 딱 한 번 실시되었는데, 이때 17살 양산보가 최연소로 합격한다. 그러나 급제자가 너무 많다는 대간의 의견 때문에 최종 탈락하게 된다. 이에 중종은 양산보를 불러 위로하며 종이를 내려주었다고 한다.
현량과에 합격했던 그해 겨울,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는 화순 능주로 유배와 한 달 만에 사약을 받았고, 조광조의 당(黨)으로 몰린 양산보는 관직 진출이 막히게 된다. 양팽손과 함께 스승의 시신을 거둔 양산보는 세상 모든 것을 잊고 초야에 묻혀 살아갈 결심을 굳힌다. 고향 창평에 내려와 창암촌(지석 마을)에 소쇄정을 짓고 소쇄원을 조성한 이유였다.
양산보는 기묘사화 후 은둔 생활을 하던 중 몇 번의 천거를 받아 조정에 나아갈 수 있었지만, 단호히 거부했다. 당시 기묘사화로 낙향한 사람 중에는 공덕장의 ‘북산이문’에 나오는 주옹처럼 관직에 나아가는 자도 있었다. 그러나 양산보는 공덕장처럼 소쇄의 삶을 선택했다. 이러한 양산보의 절의에 대해 고봉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은 “소쇄옹이 외면은 온화하지만 내면은 엄숙하여 한번 보면 화락하고 온화한 군자임을 알 수 있다”고 평했다.
-하서 김인후와 사돈지간 소쇄원은 당시 남도 사대부들이 찾았던 고급 사교장이었다. 이는 손님을 기다리는 곳인 ‘대봉대’와 손님의 사랑방인 ‘광풍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단골손님으로는 ‘유서석록’을 남긴 임진왜란 의병장 고경명과, 소쇄원 조성을 도왔던 송순, 후일 문묘에 배향된 하서 김인후 등이 있다. 그가 죽었을 때 만장(輓章)을 지었던 임억령, 유사, 양응정, 기대승도 단골손님이었다. 이 중에서도 이민서가 쓴 ‘행장’에는 석천 임억령을 가장 친한 벗으로 기록하고 있다.
인척 관계로 맺어진 분들도 대단했다.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면앙정 송순은 양산보와는 이종사촌간이었다. 송순의 이모가 양산보의 어머니였다. 소쇄원 건립은 20여 년이 소요된다. 경제력 때문이었는데, 건립비용을 보탠 분도 송순이었다.
양산보의 부인은 나주 목사를 지낸 사촌 김윤제의 여동생이었다. 따라서 환벽당의 주인인 사촌 김윤제는 양산보의 처남이 된다.
일곱 살 아래인 하서 김인후와는 특별히 친했다. 김인후는 양산보의 둘째 아들 양자징을 제자로 삼았다가, 사위로 맞이한다. 김인후의 따님이 양산보의 며느리가 되었으니, 양산보와 김인후는 사돈지간이 된다.
-소쇄원을 찾다 1540년대에 만들어진 소쇄원의 원형을 오늘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1597년 정유재란 당시 광풍각 등의 건물들이 화재를 입었기 때문이다.
소쇄원의 원래 모습은 1755년 만들어진 판화 ‘소쇄원도’와 1548년 하서 김인후가 지은 ‘소쇄원 48영’에서 확인된다. ‘소쇄원도’나 ‘소쇄원 48영’을 보면 지금 남아 있는 오곡문이나 제월당, 광풍각, 대봉대 말고도 고암정사나 부훤당 등도 있었다.
제월당에 걸린 ‘소쇄원 48영’ 편액
소쇄원은 크게 세 구역으로 나뉜다. 계곡을 건너기 전 대봉대가 있는 구역, 시냇물 너머의 광풍각, 그 위에 살림집이 있는 제월당 구역이 그것이다.
소쇄원의 주인 소쇄옹이 거주했던 집이 제월당(齊月堂)이다. 건물 이름 제월당은 ‘비가 멈춘 후의 밝은 달’이란 뜻의 당호로 앞면 3칸, 옆면 1칸의 팔작지붕이다. 현판 글씨는 우암 송시열이 썼다. 제월당에는 소쇄원의 풍광을 노래한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과 임억령·고경명·김성원·정철의 한시, 송순·양응정·기대승의 만시(輓詩) 등이 편액되어 걸려 있다.
소쇄원의 중심 건물 중 하나가 손님을 맞이했던 사랑채인 광풍각(光風閣)이다. 계곡 옆에 위치하고 있다. ‘비 갠 뒤 불어오는 청량한 바람’의 뜻을 지닌 광풍각은 앞면 3간,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광풍각은 제월당과 달리 1597년 정유재란 당시 불타자, 1614년 양천운(양산보의 손자)에 의해 복원된 건물이다. 광풍각의 글씨도 우암 송시열이 썼다.
제월당과 광풍각 등 당호의 이름은 그냥 붙이는 것이 아니다. 원래 제월당과 광풍각은 송나라 유학자 황정견이 주돈이(周敦頤)의 사람됨을 평하면서 쓴 시 ‘흉회쇄락여광풍제월(胸懷灑落如光風霽月)’ 중 ‘광풍제월’에서 따와 붙인 이름이다. 쇄락(灑落)은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한 상태를 말한다. 즉 주돈이의 사람됨이 “가슴에 품은 뜻의 상쾌한 상태가 마치 비갠 뒤 불어오는 청량한 바람과, 비가 멈춘 후의 밝은 달빛과 같다”라고 평한 것이다. 양산보가 닮고 싶었던 인물은 북송의 유학자 주돈이었다.
사진 위로부터 소쇄옹이 거주했던 공간 ‘제월당’, 손님을 맞이했던 사랑채 ‘광풍각’, 손님을 기다렸던 공간 ‘대봉대’
소쇄원의 건물 중 특별한 장소는 1985년 재건된 대봉대(待鳳臺)로, 사방 1칸의 초가 정자다. 정자 이름 대봉대는 ‘봉황처럼 귀한 손님을 기다린다’는 뜻을 담고 있다. 봉황은 새 중 으뜸으로, 뛰어난 명성을 지닌 사람을 상징한다. 그리고 봉황은 오직 오동나무 위에만 내려앉고 대나무 열매만 먹고 산다. 그래서 양산보는 대봉대 뒤에 벽오동을 심고, 정원 곳곳에 대나무를 심는다. 지금 벽오동은 사라지고 없고, 대나무만 울창하게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소쇄원은 양산보가 은둔하기 위해 조성한 원림이었지만, 봉황같이 빼어난 친구들이 찾아와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기를 바라는 마음도 묻어 있다.
계곡을 중심으로 흙과 돌로 쌓은 담이 있는데, 담벽에는 애양단(愛陽檀)과 담장 밑으로 계곡물이 흐를 수 있도록 꾸며 자연의 풍치를 살린 오곡문(五曲門)이 있었다. 오곡문은 “담장 아래 주변의 암반 위로 흐르는 물이 갈지자(之) 모양으로 다섯 번을 돌아 흘러내려 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오늘 오곡문은 사라졌고, 대신 담장에 현판만 남아 있다.
‘애양단’이란 ‘햇볕을 사랑하는 단’이란 뜻이다. 하서 김인후의 시 ‘소쇄원 48영’에 나오는 ‘햇볕드는 단의 겨울 낮’이라는 뜻의 ‘양단동오(陽檀冬午)’라는 시제를 따서 우암 송시열이 이름 붙였다고 한다. 이름 하나하나가 기가 막힌다.
양산보는 생을 마감하기 직전 “어느 언덕이나 골짜기를 막론하고 나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으니 이 동산을 남에게 팔거나 양도하지 말고, 어리석은 후손에게 물려주지도 말 것이며, 후손 어느 한 사람의 소유가 되지 않도록 하라”는 유언을 남긴다. 오늘 소쇄원이 남아있는 이유다.
노성태·남도역사연구원장
소쇄옹 양산보가 세상을 뜬 지 268년 만인 1825년(순조 25), 창평의 유림들은 명옥헌 원림 뒤에 그의 위패를 모신 도장사(道藏祠)를 건립한다. 오늘 도장사는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헐리고, ‘유허비’만 서 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